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로 취업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들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저는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취업 준비를 했지만, 성공하였고, 이 방법들이 정말 효율적이였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최대한 자세하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제가 정답은 아니지만 취업 준비가 너무 막막한 싸움이라는 것을 잘 알기에 최대한 도움이 되게 열심히 작성하겠습니다.

 

처음 취업 준비를 하시는 분들이나, 개발자로 전향하시는 분들은 꼭 한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개발자 취업 핵심전략 1 - Spec Up

 취업 준비를 할 때 가장 자기소개서에서 합격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아무런 Spec이 없다면, 기업에서 절대 뽑아주지 않겠죠. 저는 대학교때도 수업만 열심히 듣고 따로 Spec 관리를 안했기 때문에, 짧은 기간안에 Spec Up을 진행 했어야했습니다. 비교적 낮은 노력으로 자소서에 한줄이라도 추가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1. 자격증

(1).  정보처리기사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

 

개발자로 취업하기 - 정보처리기사

개발자로 취업하기위해서는 프로젝트 경험과 학점 같은 것도 중요하지만, 꾸준히 Spec Up을 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자소서에 한줄이라도 더 추가해야 취업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우리

nakco.tistory.com

 

(2).  SQLD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SQLD

 

개발자로 취업하기 - SQLD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2편. SQLD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QLD(SQL Developer)는 Database 관련 자격증으로 정처기보다 훨~~씬 따기 쉽습니다. 그리고 정보처리기사와 마찬가지

nakco.tistory.com

 

해당 자격증들 같은 경우에는, 가산점이 붙는 기업도 종종 있고, Computer Science 맛보기 정도로 생각하면서 1석 2조로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취준할때 정말 좋은 자격증들이라고 생각합니다.

 

2. 교육

(1).  삼성 SDS 알고리즘 특강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82%BC%EC%84%B1-SDS-%EC%95%8C%EA%B3%A0%EB%A6%AC%EC%A6%98-%ED%8A%B9%EA%B0%95

 

개발자로 취업하기 - 삼성 SDS 알고리즘 특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개발자 교육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자기소개서를 쓰다보면 교육에 대해 적는 란이 있는데, 해당 부분이 비어 있으면 허전할 수 있으니 방학때 들

nakco.tistory.com

 

(2). 현대 모빌리티 클래스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D%98%84%EB%8C%80-%EB%AA%A8%EB%B9%8C%EB%A6%AC%ED%8B%B0-%ED%81%B4%EB%9E%98%EC%8A%A4

 

개발자로 취업하기 - 현대 모빌리티 클래스

안녕하세요. 개발자로 취업하기, 교육 2편은 현대모빌리티 클래스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해당 교육도 방학에 진행되며, 차량 전동화, 자율주행, 로보틱스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다소 어려

nakco.tistory.com

 

(3). 가짜 연구소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A%B0%80%EC%A7%9C%EC%97%B0%EA%B5%AC%EC%86%8C

 

개발자로 취업하기 - 가짜연구소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했던 활동 중 정말 뜻깊었고 도움이 많이 되었던 '가짜 연구소'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가짜 연구소란, 머신러닝/데이터사이언스를 중심으로 모인 비영리

nakco.tistory.com

 

 해당 교육들은 3개월 미만으로 짧게 진행되고, 입과하는 과정도 복잡하지 않아, 시간이 되신다면 꼭 지원이라도 해보시길 바랍니다. 저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설마 내가 이런 대기업의 교육을 들을 수 있겠어? 라는 의문이 들었지만 모두 참여해 볼 수 있었습니다. 가짜 연구소는 교육은 아니지만, 현업에 있는 여러 개발자분들과 소통해볼 수 있고, AI 관련하여 많은

 

개발자 취업 핵심전략 2 - 자기소개서

 어느정도 Spec을 갖췄다면 이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여 공고에 지원을 해봐야합니다. 하지만 저희 대부분은 공대생이고 글을 정말 못쓰고 써본적도 없습니다. 저도 처음에 정말 막막했는데, 어느정도 노하우가 생기고 나니 그 다음부턴 술술 써지더라구요. 제가 직접 경험하면서 느꼈던 노하우들에 대해 공유하겠습니다.

 

개발자 자기소개서 꿀팁 1편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9E%90%EA%B8%B0%EC%86%8C%EA%B0%9C%EC%84%9C-1%ED%8E%B8

 

개발자로 취업하기 - 자기소개서 1편

자기소개서 1편 -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여태까지는 가볍게 SPEC UP 할 수 있는 자격증, 교육에 대해서 다뤘었는데요. 이번에는 취업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

nakco.tistory.com

 

 

개발자 자기소개서 꿀팁 2편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9E%90%EA%B8%B0%EC%86%8C%EA%B0%9C%EC%84%9C-2%ED%8E%B8

 

개발자로 취업하기 - 자기소개서 2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자 자기소개서 2편, 자소서 작성하기 시작하겠습니다. 1편은 하기 링크에서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

nakco.tistory.com

 

 

개발자 취업 핵심전략 3 - 코딩테스트

 아무리 자기소개서를 잘 쓰고, 스펙이 좋아도 코딩테스트를 통과 못한다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코딩을 잘한다고 해서, 코딩테스트를 잘 보는 것은 아닙니다. 코딩 테스트는 양이 엄청 방대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 할 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어떻게 시작했는지 관련 내용 공유드리겠습니다.

 

개발자 코딩테스트 기초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BD%94%EB%94%A9%ED%85%8C%EC%8A%A4%ED%8A%B8-%EA%B8%B0%EC%B4%88%ED%8E%B8

 

개발자로 취업하기 - 코딩테스트 (기초편)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딩테스트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개발자 스펙과 자기소개서 작성법을 보고 싶으시다면 이전 포스팅들을 참조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nakco.tistory.com/ 낙서

nakco.tistory.com

 

개발자 코딩테스트 심화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BD%94%EB%94%A9%ED%85%8C%EC%8A%A4%ED%8A%B8-%EC%8B%AC%ED%99%94%ED%8E%B8

 

개발자로 취업하기 - 코딩테스트 (심화편)

안녕하세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코딩테스트 기초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딩테스트 꿀팁과 더 추가로 공부하면 좋은 심화 알고리즘들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기초편을

nakco.tistory.com

 

개발자 취업 핵심전략 4 - CS(Computer Science)

코딩테스트까지 붙었다면, 이제 직무 면접 준비를 해야합니다. 컴퓨터 공학의 전공 지식들에 대해 기본적으로 슥듭을 해놓아야하는데, 관련 공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진행했는지 공유드립니다.

 

Computer Science 공부법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CSComputer-Science

 

개발자로 취업하기 - CS(Computer Scienc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공부해야하는 Computer Science 공부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Computer Science는 컴퓨터 공학 전공 지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대학교에서

nakco.tistory.com

 

 

개발자 취업 핵심전략 5 - 개발자 직무 면접 

면접은 사실 정답이 없습니다. 어떤 면접관이 들어올지, 어떤 질문을 할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많이 준비한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잘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면접을 어떻게 준비했는지 관련 내용 공유드립니다.

 

 

개발자 기술 면접 경험 공유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A%B8%B0%EC%88%A0-%EB%A9%B4%EC%A0%91

 

개발자로 취업하기 - 기술 면접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 면접 준비 방법 및 꿀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면접이 처음이라면, 면접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무슨 질문을 할지 하나도 몰라서 막막하고 두렵기만 할

nakco.tistory.com

 

개발자 면접 스터디 꿀팁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B%A9%B4%EC%A0%91-%EC%8A%A4%ED%84%B0%EB%94%94

 

개발자로 취업하기 - 면접 스터디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면접 스터디에 관해 다뤄보겠습니다. 혼자 준비하시는 분도 많겠지만 저는 면접 스터디가 참 많이 도움이 됐었기에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CS 편에서도 스터디에

nakco.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면접 스터디에 관해 다뤄보겠습니다. 혼자 준비하시는 분도 많겠지만 저는 면접 스터디가 참 많이 도움이 됐었기에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CS 편에서도 스터디에 대해 잠깐 다루었었는데, 스터디를 어떻게 진행해야하는지, 어디서 구하는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아 좀 더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CSComputer-Science

 

개발자로 취업하기 - CS(Computer Scienc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공부해야하는 Computer Science 공부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Computer Science는 컴퓨터 공학 전공 지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대학교에서

nakco.tistory.com

 

개발자 면접 스터디 구하기

면접에 도달했고, 이미 CS 공부까지 마치신 분들이라면 이젠 실전을 준비해야합니다. 보통 코딩테스트 결과가 나오면 그때부터 면접 스터디원을 이곳 저곳에서 모집할 것입니다. 

  • 카카오 오픈 채팅방
  • 기업 카카오 단톡방
  • 에브리타임
  • 캠퍼스픽

저는 위의 네 곳에서 면접 스터디를 구했었는데, 가장 추천드리는 곳은 캠퍼스픽입니다. 오픈 채팅방이나 단톡방은, 누군지 모르는 사람들과 무작위로 진행해야한다는 부분에서 좀 꺼려졌었고, 캠퍼스픽 같은 경우에는 보통 모집 인원, 모집 조건, 지역, 스터디 진행 방향 등에 대해 써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사항들을 고려하여 스터디를 고르는게 제일 좋은 방법이였다고 생각합니다.

https://www.campuspick.com/

 

캠퍼스픽

대학생 커뮤니티, 동아리, 공모전, 대외활동 등 즐겁고 유익한 정보가 한 곳에!

www.campuspick.com

가장 좋은 방법은 캠퍼스픽에 직접 구인 글을 올려, 괜찮은 사람들을 선별하는 것이 좋지만, 여건이 안된다면 일단 이곳저곳 다 들어가보신 후 진행방향등에 대해 서로 논의한다음 맞지 않는 곳은 바로 나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에브리타임 같은 경우에는 같은 학교 사람들이라 좀 더 신뢰가 가고, 만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같은 학교이다보니 모두 비슷한 경험을 했을 수 있어, 조금 편협적이 될 수도 있어서 캠퍼스픽을 가장 추천드립니다.

 

저는 면접을 준비할 때 한 기업당 적어도 하나의 면접 스터디에 참가했고, 많으면 세개까지도 참여했습니다. 첫 면접을 이미 경험해보셨다면, 어느정도 내용은 갖추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직접 말해보는 것이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여러 사람과 대화를 하다보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답변에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사람들과 준비를 해보며, 서로 피드백해주고, 많은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개발자 면접 스터디 진행

 면접 인원이 정해졌다면, 우선 서로의 자기소개서를 공유합니다. 물론 서로가 경쟁자라고 생각하여 자기소개서 공유가 꺼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자기소개서는 제출 된 상황이고,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질문이 많이 들어올 것이기 때문에 꼭 공유해야합니다. 공유를 꺼려하는 사람이 있다면, 방출시키셔야 합니다. 서로에게 도움이 안될것이고 시간만 낭비하게 될 것입니다. 

 자기소개서를 서로 공유했다면, 공유 파일이나 노션을 이용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자기소개서 기반으로 질문들을 작성합니다. 각자의 이름 밑에 질문들을 적어놓으면, 각자 해당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고, 다 같이 시간이 될때 직접 만나던, 온라인으로 화상채팅을 하던 실전 연습으로 나아갑니다. 실전처럼 다른 스터디원들이 질문을 해주고, 해당 질문에 답변을 하면, 꼬리 질문을 계속해서 진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진행하면서 스터디원들 각각이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피드백을 계속 정리하여 공유 파일이나 노션에 기입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질문이 끝나면, 각각 피드백에 대해서 말하는 시간을 갖고, 잘했던 점, 못했던 점, 어떻게 수정해야할지 등에 대해서 얘기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칭찬도 좋지만 최대한 서로가 비판적인 시각으로 문제점을 짚어주는 것이 많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각각의 자기소개서에 대한 면접 연습과 피드백이 끝났다면, 이젠 공통으로 나올 수 있는 질문들에 대해서 연습해야합니다. 질문 기출이나, 자주 나오는 질문들에 대해서 적어놓고, 한명 씩 다시 실전 연습으로 돌입합니다. 여기서도 계속 꼬리 질문을 하고, 피드백을 공유하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가 전반적인 진행 방식이고, 사실 스터디원들이 모두 맞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해당 피드백을 전적으로 받아드릴 필요는 없지만,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다 다른 생각을 갖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여러 사람들과 진행을 해보면, 더 다채롭게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면접 스터디 진행 요약


1. 자기소개서 공유

2. 자기소개서 기반 실전 면접

3. 피드백

4. 공통 질문 공유

5. 공통 질문 기반 실전 면접

6. 피드백


 

스터디 내용 정리

 스터디가 끝났다면, 공유 파일에 정리해뒀던 피드백들과 내용들을 토대로, 질문들을 개인 파일에 나열하고 답변까지 적어 보시길 바랍니다. 자신에게 했던 질문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이 연습할때, 괜찮았던 질문이나 답변을 잘 했던 것들도 같이 정리하여, 면접 전날 한번씩 소리내어 말해보는 것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기업당 예상 질문을 100개 이상 적어놓았고,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과, 답변들을 참고하여 답을 미리 적어놓았습니다. 면접 전날과 당일날에 해당 질문에 대해 소리내어 읽어보며 (절대 외우는 느낌이 아님) 연습합니다. 절대 외우지 말고, 키워드만 생각하며 계속 말해보면, 면접때 말이 술술 나오는 마법을 체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꼭 말해야하는 키워드를 계속 각인시키도록 노력합시다.

 

마무리

같이 면접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물론 경쟁자가 맞지만, 서로 최대한의 도움을 주며 정보를 교환해야 스터디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끼리만 붙자는 마인드로, 서로에게 열심히 피드백해주고 정보를 공유하면 정말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제가 정말 서로 열심히 했던 스터디였다고 생각하는게 삼성전자 면접스터디와, 카카오 면접스터디였는데, 삼성전자는 3명이 진행하여 3명 모두 합격하였고, 카카오는 9명이 진행하여 7명이 합격했었습니다. 서로 자소서도 공유 안하고, 피드백을 비판적으로 안하고 그냥 좋네요~~이정도만 하던 스터디들은 하면서도 진짜 시간낭비라고 생각됐고, 다들 붙었는지 떨어졌는지 공유도 없이 그냥 방이 폭파되었었습니다. 정보를 과감히 공유하며 함께 합격을 목표로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취준생, 개발자 여러분 모두 응원하며 이번 포스팅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 면접 준비 방법 및 꿀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면접이 처음이라면, 면접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무슨 질문을 할지 하나도 몰라서 막막하고 두렵기만 할 텐데, 이런 분들을 위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네이버 클라우드, 신한은행, 당근 마켓 등 약 10개가 넘는 기술 면접을 봤었는데, 그 과정에서 느꼈던 점을 세세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CSComputer-Science

 

개발자로 취업하기 - CS(Computer Scienc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공부해야하는 Computer Science 공부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Computer Science는 컴퓨터 공학 전공 지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대학교에서

nakco.tistory.com

개발자 기술 면접

면접 시작

개발자 기술 면접은 말 그대로 내가 갖고 있는 프로그래밍 기술에 대한 질문을 주로 받게 됩니다. 일반적인 IT 직군이라면, 위의 CS 기반의 질문을 하게 되는데 해당 내용은 위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2 ~ 4명의 면접관과 다대일로 면접이 진행됩니다. 기본적으로 처음에 자기소개를 30초 ~ 60초 정도 진행 한 후, 해당 자기소개에서 궁금한 부분을 질문하거나 아니면 자기소개서 기반의 질문으로 시작됩니다. 따라서 자기소개를 할 때 자신이 가장 자신있는 부분에 대해 궁금증을 유발하는게 하나의 꿀팁입니다. 

 

자기소개서 기반 질문

본격적으로 면접이 시작된다면, 자기소개서 기반의 질문부터 시작합니다. 대부분의 면접에서 제가 적었던 프로젝트 위주로 질문을 받았습니다.

  • 프로젝트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 어떤 기술을 썼는지,
  • 해당 기술을 쓰면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 있었는지,
  • 배포까지 해봤는지,
  • 안했다면 왜 안했는지,
  • 아쉬웠던 점은 무엇이 있는지,
  • 더 발전시킨다면 어떤 방향으로 할 생각인지

프로젝트를 적었다면 위의 내용에 대해서는 꼭 한번 정리를 해 보시길 바랍니다. 대부분이 해당 질문들을 했었고, 현장에서 해당 질문을 받으면 생각보다 말이 술술 나오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따라서 자기가 했던 프로젝트를 꼭 다시 리뷰해보고 해당 질문들에 대해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네이버나 카카오같은 IT 기업이라면 좀 더 세부적으로 질문이 들어옵니다. 만약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진행했었다면,

  • 자바를 썼는지 코틀린을 썼는지,
  • 시스템 설계는 어떤 모델을 사용해서 했는지,
  • 왜 해당 모델을 선택했는지,
  • 코틀린 or 자바의 특징은 뭐가 있는지,
  • 어떤 기능을 구현하는데 어떤 기술을 썼고, 왜 그랬는지, 다른 방법을 아는지

등 정말 내가 개발을 진행했는지, 해당 기술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용한 것인지 등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들을 합니다. 저는 사실 프로젝트를 할 때 무슨 기술들이 있는지도 잘 모르고, 그냥 되는대로 했기 때문에 해당 질문들을 받았을 때 매우 난처했습니다. 여러분들은 꼭 미리 해당 질문들에 대해 준비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자소서에 어떤 과목에 대해서 적었다면 해당 질문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 수업을 들으면서 OS 동작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이러한 부분을 생각하며 프로그래밍을 하여 좀 더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었다' 라고 적었다면, 

  • 운영체제 동작 중 하나를 설명해달라,
  • 어떤 부분을 생각하며 프로그래밍을 하는지,
  • 어떻게 효율적으로 코드를 짜는지,
  • 실제로 효율적으로 프로그래밍한 경험,

등에 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자소서에 적은 내용들에 대해서는 따라서, 정말 꼬리의 꼬리를 물며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시고 답변을 미리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자소서에 적은 내용인데 대답을 못한다면, 자소서를 과장되게 썼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CS 기반 질문

 cs 기반 질문은 개발자로 취업하기 - CS 편을 보셨다면 잘 준비되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IT 직군이라면, gyoogle의 있는 항목들 위주로 질문이 들어 올 것이고, 좀 더 세분화 된 직군 (앱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 이라면 관련 지식을 주로 질문할 것입니다. CS 기반 질문에서 정말 중요한 점은, 질문에 대해 먼저 선수를 쳐서 아주 세세한 것 까지 자신이 아는 모든것을 뱉어 버리는 것입니다. 물론 너무 길게 대답하면 안되겠지만, 질문에만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 나올 수 있는 질문들에 대해서도 미리 선수쳐서 대답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실 수 있을 것입니다. 


ex) 해쉬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답 : 해쉬란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으로 저장 및 검색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key 와 value가 한 쌍으로 존재하고 ~~~ 저장의 시간 복잡도는 O(1)입니다. -> 여기까지가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추가 : 하지만 한정된 인덱스로 바꾸게 된다면 충돌이 발생 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는 체이닝 기법과 매핑 개선 기법이 있습니다. 자바에서는 Seperate Chaining 방식으로 충돌을 해결하는 hash를 사용합니다.


 

여기까지 답한다면 이미 충분히 잘 알고 있다고 느낄 것이고, 꼬리 질문이 들어온다면, chaining 방식이 뭔지, open address가 뭔지, 매핑 개선 기법엔 뭐가 있는지 등이 나올 수 있겠지만, 보통은 저정도까지 얘기하면 이미 알고있다고 생각하고 물어보지 않을 것이고, 제 생각에도 저정도 얘기했으면 이후 질문도 쉽게 답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질문자가 해당 내용으로 계속 질문하지 않게, 한번에 만족스러운 답변을 해내시길 바랍니다.

 

 

마무리

 보통 기술면접은 현업을 하고 있는 개발자들이 참여하고, 그 분들도 대부분 CS 지식을 까먹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너무 긴장하지 말고! 그분들도 인터넷을 찾아 질문을 가져오거나, 현업에서 하는 내용들에 대해 물어볼터이니, 자신의 직무에 맞게 잘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자신이 알고있는 모든 것을 다 말하는 것이 중요하고, 자기소개서에 있는 모든 내용을 잘 숙지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개발자 면접은 경험상 그렇게 딱딱하지 않고, 다들 편하게 해주는 경향이 있어 너무 긴장하지 마시고 자신있게 표현하시길 바랍니다.

 자기소개서와 마찬가지로 말을 할 때 항상 두괄식으로 말하고, 바로바로 답변하지 말고 조금 생각을 정리한 후 답변하시길 바랍니다. (네 답변 드리겠습니다 라고 하면서 생각을 하거나, 질문을 그대로 말하며 네 ~ 해쉬테이블이란~~ 하면서 생각을 정리) 또한 말하다가 잘못말하고 있다고 느끼면, 죄송합니다. 다시 답변드리겠습니다. 하고 다시 말해야지, 틀린 것을 계속 고집하시면 안됩니다.

 이상으로  개발자 기술 면접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성실히 답하겠습니다. 개발자, 취준생 여러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공부해야하는 Computer Science 공부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Computer Science는 컴퓨터 공학 전공 지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대학교에서 4년간 배우는 지식이다 보니 범위가 매우 많게 느껴질 수 있지만, 중요한 부분부터 차근차근 공부해나가도록 합시다. 처음에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할지 매우 막막할 수 있는데, 우선 입문하기 좋은 사이트 먼저 추천드리겠습니다.

 

https://github.com/gyoogle/tech-interview-for-developer

 

GitHub - gyoogle/tech-interview-for-developer: 👶🏻 신입 개발자 전공 지식 & 기술 면접 백과사전 📖

👶🏻 신입 개발자 전공 지식 & 기술 면접 백과사전 📖. Contribute to gyoogle/tech-interview-for-develop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Computer Science 과목들이 카테고리별로 잘 정리되어있고, 각각의 항목에 대해 간단히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우선은 해당 사이트를 보면서 전반적인 개요에 대해 이해하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Computer Science 스터디

 우선 저는 학교 동기든, 같이 취준을 하는 친구든, 모르는 사람이든 4명정도 모아 스터디를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혼자서 많은양을 공부한다면 시간도 많이들고, 제한적인 정보만 습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터디를 통해 주제를 나누고, 서로 해당 부분에 대해 토의하면, 기억에 남는것도 많고 더 deep 하게 공부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스터디를 어떻게 진행했는지 공유드리겠습니다.

 

1. CS 스터디 구하기

 저는 처음에 대학 동기 8명과 함께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워낙 친했던 사람들이였기 때문에, 체계가 잘 잡히지 않았고, 잡담하는 시간도 많아 집중이 잘 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차라리 모르는 사람들과 진행하는게 낫다고 판단하여, 캠퍼스픽이라는 곳에서 스터디원을 구했습니다.

https://www.campuspick.com/

 

캠퍼스픽

대학생 커뮤니티, 동아리, 공모전, 대외활동 등 즐겁고 유익한 정보가 한 곳에!

www.campuspick.com

해당 사이트에서 스터디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다양한 스터디를 구할 수 있는데, 직접 구인글을 올려도 되고, 다른 사람의 구인글을 통해 들어가셔도 좋습니다. 저는 직접올렸고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문의를 해주어서 스터디를 경성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2. CS 스터디 진행 

 스터디를 결성했다면, 체계적으로 서로에게 도움을 주며 진행하는 것이 중요 할 것입니다. 저희는 1주일에 1번 만나는 것으로 결정했고, 스터디룸 하나를 3시간정도 빌려 진행했습니다. 첫번째로, 위에서 소개해드린 규글 사이트에 컴퓨터 구조, DB, 자료구조, 네트워크, 운영체제, Software Engineering, 알고리즘 총 7개의 항목이 있는데, 1주일에 2개의 항목을 공부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네명 모두 2개의 항목에대해서 공부하되, 개인이 특정 항목을 맡아 더 자세하게 공부를 해와서 발표하는 식으로 진행했습니다. 발표를 하면서 헷갈리거나,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들을 서로 토의하며 더 deep하게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네명이 공유 파일을 하나 만들어 (저희는 노션에 진행) 각 항목에 대해 자세히 정리를 하였고, 토의를 하며 자료를 강화했습니다. 이렇게  진행하여 3주만에 CS를 한번 훑을 수 있었습니다.

 

3. 개발자 기술 면접 준비

 대부분은 CS 공부를 기술면접 준비를 위해서 할 것입니다. 저희는 따라서 자료 정리를 마친 후 바로 기술면접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자신이 면접에 갈 기업이 있다면, 해당 기업의 질문들을 모았고, 아니면 이곳 저곳 면접 질문 후기들을 모아 한명씩 돌아가며 실전처럼 면접을 진행했습니다. 단 이때, 하나의 질문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질문에 계속 꼬리를 물고 깊게 파고 들어가며 진행했고, 저희가 정리했던 자료들에서도 질문을 하며, CS 지식들을 머리에 우겨넣었습니다. 저는 실제로 스터디에서 했던 질문들이, 기업에서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고 정말 도움이 많이 됐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단순히 공부만 하지 말고, 이렇게 실전 면접 형식으로 진행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컴퓨터 공학 자격증 준비

 컴퓨터 공학과 관련 자격증은 정말정말 많은데 기왕 공부할 거, 자격증도 함께 딴다면 1석 2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정보처리기사와 SQLD를 같이 준비했고, 준비를 하면서도 1석 2조라는 생각에 긍정적인 마인드로 공부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앞 포스팅에 해당 자격증들에 대해 써놓은게 있어 공유드리겠습니다.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

 

개발자로 취업하기 - 정보처리기사

개발자로 취업하기위해서는 프로젝트 경험과 학점 같은 것도 중요하지만, 꾸준히 Spec Up을 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자소서에 한줄이라도 더 추가해야 취업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우리

nakco.tistory.com

https://nakco.tistory.com/entry/%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SQLD

 

개발자로 취업하기 - SQLD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2편. SQLD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QLD(SQL Developer)는 Database 관련 자격증으로 정처기보다 훨~~씬 따기 쉽습니다. 그리고 정보처리기사와 마찬가지

nakco.tistory.com

 

 이 외에도 다양한 자격증이 있으니, CS 공부도 할 겸 1석 2조의 효과를 누리시길 바랍니다.

 

자기소개서에 쓴  CS 지식

 규글에 나오는 것들을 모두 공부했다면, 기본적인 CS 공부는 한 것이지만, 면접은 대부분 자기소개서 위주로 질문을 하기 때문에, 자신이 적은 내용에 대한 지식 또한 필수적으로 공부를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java를 사용하여 어떤 프로젝트를 했다고 적었으면 Java 언어에 대한 공부를 진행해야합니다. 자바의 특징은 무엇인지, 상속화, 캡슐화 등등은 무엇이고 언제 쓰는지 등, 직접 써본 경험이 있는지까지 생각하며 공부해야합니다. 저는 첫 면접때 java에 관한 질문에서 이론적인 부분은 잘 대답했는데 써본적이 있냐는 질문에서 턱 막혔습니다. 언제 쓰는지, 써봤는지 정리를 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삼성 자기소개서에서 시스템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어셈블리 언어를 사용해봤다 적었는데, 아주 간단한 어셈블리어 질문에도 대답을 못하여 당황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소개서에 쓴 내용은 꼭!꼭! 공부해놓으시길 바랍니다.

 

마무리

CS 지식은 그 범위가 광범위하나, 저는 저 규글에 있는 지식 외의 범위에서 질문을 받아본 적은 없습니다. 명심해야할 것은 겉핥기 식으로 공부하시면 안되고 꼭 꼬리의 꼬리를 물고 아주 deep하게 공부를 하셔야합니다. 제가 정말 잘대답했다고 생각했고, 실제로 면접관분들이 서로 마주보며 고개를 끄덕였던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 퀵 소트와 머지 소트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퀵 소트는 ~~ 이고, 머지 소트는 ~~입니다. 차이점은 퀵소트는 보통 빠르지만, 최악의 상황에선 머지소트보다 더 성능이 안좋고, 추가적인 공간을 할당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까지만 말하면, 잘 대답한 것은 맞으나, CS 준비를 잘 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만한 대답입니다. 저는 여기에 추가로 

 

머지소트는 안정적이고, 최악의 상황에도 O(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갖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는 머지소트가 더 적합합니다. 개발 언어들에 내장된 라이브러리에서도 실제로 머지소트로 되어있는 부분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고, 제가 주로 사용하는 Python 언어에서는 Merge Sort와 Injection Sort를 합친 Tim Sort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매우 딥한 부분까지 말씀을 드리니, 정말 만족해하셨고 면접도 합격 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들도 질문에 대해서만 답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사례, 보완 사례, 등등 더 deep하게 들어가서 말씀드리면 성공적인 면접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개발자, 취준생 여러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